저널리즘과 공중, 거버넌스, 공영방송
저널리즘에서 기자와 정보원의 관계와 함께 공중과의 관계도 중요하다. 공중은 능동적 주체적 시민이다. 이에 거버넌스는 공중에 대한 책임이 필요하며, 특히 공영방송은 공중에 대한 거버넌스를 확립해야 한다.
Almost everything about life information
저널리즘에서 기자와 정보원의 관계와 함께 공중과의 관계도 중요하다. 공중은 능동적 주체적 시민이다. 이에 거버넌스는 공중에 대한 책임이 필요하며, 특히 공영방송은 공중에 대한 거버넌스를 확립해야 한다.
디지털시대에도 객관보도와 불편부당은 중요한 원리이다. 객관보도는 기술적 규율, 검증의 규율, 방법론이다. 디지털시대에 객관보도와 불편부당은 적절한 불편부당으로 재개념화가 필요하다.
객관보도와 불편부당은 ‘합의의 틀’이나 ‘합법적인 논쟁의 영역’에 한정된 토론을 가능하게 한다. 논쟁의 영역에서는 지배적인 생각에 기울게 된다. 객관성이 가장 거부되는 영역은 전쟁보도라는 것을 되새길 필요가 있다.
저널리즘의 규범이라고 하는 객관보도는 한계가 있으며 오해도 있다. 공정성의 구성요소는 정확성, 사실성, 객관성, 관련성이다. 디지털시대에 기계적 중립을 넘어 재개념화가 요구된다.
언론의 규범으로 여겨지는 객관보도와 불편부당은 애매한 개념이다. 이는 언론이 정치적, 경제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장해 온 개념이며, 외부에서 준수를 요구하는 통제의 수단이기도 하다.
뉴스조직에는 대립과 갈등이 존재하며, 뉴스는 기자와 관리자간의 교섭을 거쳐 생산된다. 뉴스조직마다 가지는 조직문화는 자산이며 부담이기도 하다. 유연한 조직문화와 관행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기자는 미디어조직 속에서 뉴스를 생산한다. 미디어조직은 위계화된 관료조직에 가까우며, 조직적으로 관리된다. 이에 뉴스는 조직의 산물이며, 관리된 시스템에서 생산된다. 이는 다중적 게이트키핑이다.
정부와 언론, 공영방송과 정부의 관계는 복잡하고 블랙홀이 많다. 정부는 방송면허, 인사권, 예산 및 재원, 법령제안권과 인허가권을 통해 공영방송을 통제한다.
정부와 언론의 관계에는 적대와 공생이 상존한다. 정쟁이나 대립이 심할 수록 언론은 관찰자보다는 비평가로서 공격적인 보도태도를 보인다. 언론과 정부의 관계는 입체적, 동태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다.
언론의 역할은 감시견이라고 한다. 정부와 언론의 관계는 다양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이를 적대적 관계, 경쟁관계, 역동적 관계로 나누어 정리한다.